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38 vs r39
... ...
32 32
||<width=25%> '''BPM''' ||<-3>80 ||
33 33
|| '''타일 수''' ||<-3>19 ||
34 34
|| '''배우는 패턴''' ||<-3>16분박으로 꼬인 길 ||
35
[[9번째 세계]]와 같이 16분박을 활용한 패턴이 등장한다.
36
특이하게 BPM이 160에서 시작하지만 바로 BPM을 반으로 줄이는 달팽이 타일을 밟고 진행하므로 실질적으로 이 튜토리얼의 BPM은 80이다.
37
4번째 세계보다 느리므로 초심자도 충분히 눈으로 패턴을 읽을 수 있다.
38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39 39
=== 11-2 어지럽게 꼬인 길 ===
40 40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271734,#241630><table bordercolor=#7B7B7B,#9EA1B1><colcolor=#C8CBE4>11-2[br]'''{{{+2 어지럽게 꼬인 길}}}'''[br]{{{-1 Wild Spaghetti}}} ||
41 41
||<-6><nopad> [youtube(fRyN2HBkPos)] ||
... ...
44 44
||<width=25%> '''BPM''' ||<-3>130 ||
45 45
|| '''타일 수''' ||<-3>37 ||
46 46
|| '''배우는 패턴''' ||<-3>연속 트레실로와 사각형 ||
47
[[4번째 세계]]에 등장했던 스파게티 모양의 트레실로와 사각형 패턴이 등장한다.
48
여기서는 트레실로가 연속해서 2번 더 들어간 모양으로 소용돌이로 인해 행성의 공전 방향이 수시로 바뀌는 점에 유의해서 진행하면 쉽다.
49
해당 구간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50 50
=== 11-3 문어 ===
51 51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271734,#241630><table bordercolor=#7B7B7B,#9EA1B1><colcolor=#C8CBE4>11-3[br]'''{{{+2 문어}}}'''[br]{{{-1 Octopi}}} ||
52 52
||<-6><nopad> [youtube(aDVjEFahvfc)] ||
... ...
55 55
||<width=25%> '''BPM''' ||<-3>175 ||
56 56
|| '''타일 수''' ||<-3>50 ||
57 57
|| '''배우는 패턴''' ||<-3>육각형 복합 ||
58
[[8번째 세계]]에 등장했던 육각형 모양의 패턴이 변형되어 등장한다.
59
이번 메인 레벨의 주요 패턴 중 하나로, 첫 육각 모양의 박자는 셋잇단에서 마지막 박자가 생략된 형태의 박자로 여기 전체 패턴 중 가장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60
메인 레벨에서는 이 패턴을 수행하는 도중에 '''매우 정신없는 카메라 무빙'''이 추가되므로 여기서 박자를 잘 익혀 놓도록 하자.
61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62 62
=== 11-4 슬로우 모션 ===
63 63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271734,#241630><table bordercolor=#7B7B7B,#9EA1B1><colcolor=#C8CBE4>11-4[br]'''{{{+2 슬로우 모션}}}'''[br]{{{-1 Slow Motion Turns}}} ||
64 64
||<-6><nopad> [youtube(Erf5LTzrvx0)] ||
... ...
67 67
||<width=25%> '''BPM''' ||<-3>175 ||
68 68
|| '''타일 수''' ||<-3>22 ||
69 69
|| '''배우는 패턴''' ||<-3>잦은 변속과 셋잇단 ||
70
[[8번째 세계]]에 등장했던 반육각형 모양의 패턴이 등장한다.
71
특이한 점은, 셋잇단 이후 달팽이 타일을 밟은 직후의 두 270도 타일은 실제로는 원래 느려지기 전의 BPM에서 '''2박'''의 길이에 해당한다. 즉 해당 구간의 달팽이 타일은 원래 BPM의 1.5/2=0.75배 만큼 느리게 하고 그 다음에 나오는 토끼 타일은 이와 반대로 2/1.5=4/3(또는 1.333...)배 만큼 빠르게 하여 원래 BPM으로 돌려놓는다.
72
쉬어가는 박자는 실제 박자와 매치되는 모양이 다르지만, 박자 자체는 쉬운 편이므로 한 번 해보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을 것이다.
73
해당 구간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74 74
=== 11-5 우주선 함대 ===
75 75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271734,#241630><table bordercolor=#7B7B7B,#9EA1B1><colcolor=#C8CBE4>11-5[br]'''{{{+2 우주선 함대}}}'''[br]{{{-1 The Starship Fleet}}} ||
76 76
||<-6><nopad> [youtube(Iu8OOOfqekU)] ||
... ...
79 79
||<width=25%> '''BPM''' ||<-3>140 ||
80 80
|| '''타일 수''' ||<-3>45 ||
81 81
|| '''배우는 패턴''' ||<-3>16분박 엇박 심화 ||
82
첫 번째 튜토리얼과 비슷하게 16분박을 활용한 패턴이 등장한다.
83
이번 메인 레벨의 두 번째 주요 패턴으로, 패턴 중간중간 '''엇박과 정박이 수시로 바뀌어서''' 처음 보면 상당히 헷갈릴 수 있는 모양의 패턴이다.
84
게다가 이 패턴은 곡의 하이라이트인 '''후반부'''에 등장하므로 이 패턴을 잘 익혀 놓지 않으면 메인 레벨의 빠른 BPM과 합쳐져 자주 죽을 수 있--음과 동시에 빡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 튜토리얼 길 모양의 박자 감각을 특히 유심히 익혀 놓을 필요가 있다.
85
여담으로 메인 레벨의 배속을 높이면 길의 뾰족한 부분인 엇박 구간은 셋잇단으로 뭉게서 처리해도 넘어가지긴 한다.
86
해당 구간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87
■□□□|■□□■|□■□□|■□■□
88 88
=== 11-6 엮인 하트 ===
89 89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271734,#241630><table bordercolor=#7B7B7B,#9EA1B1><colcolor=#C8CBE4>11-6[br]'''{{{+2 엮인 하트}}}'''[br]{{{-1 Weaved Hearts}}} ||
90 90
||<-6><nopad> [youtube(ooa5NBBFZ_I)] ||
... ...
93 93
||<width=25%> '''BPM''' ||<-3>180 ||
94 94
|| '''타일 수''' ||<-3>63 ||
95 95
|| '''배우는 패턴''' ||<-3>사각형 심화 ||
96
[[6번째 세계]]와 비슷한 모양의 사각형 패턴이 등장한다.
97
다만 6번째 세계의 사각형 패턴과 다른 점은, 6번째 세계에서는 먼저 사각형 패턴으로 들어간 뒤에 엇박으로 진행하고 정박으로 돌아오는 반면, 이 튜토리얼의 사각형 패턴은 반대로 먼저 엇박을 들어간 뒤에 사각형 패턴 진입 후 정박으로 되돌아온다는 순서의 차이가 있다.
98
앞선 튜토리얼보다 박자는 조금 더 단순하고, 한 번 더 반복하므로 급격히 빨라진 BPM만 주의하면 충분히 익힐 수 있는 패턴이다.
99
해당 구간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100 100
== 11-X Heracles ==
101 101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nopad><width=8.3%> ||
102 102
||<-12><tablealign=center><tablewidth=650><table bordercolor=#7B7B7B,#9EA1B1><color=#C8CBE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241630, #271734)"
... ...